코퀴틀람 서울치과 강주성원장의
삼대(三代)를 위한 치과상식
세번째 주제 : 누구도 피하기 힘든 충치치료 제대로 이해하기!
19편 : 크라운을 씌워야 한다는데, 치아를 갈아내는 것이 싫어요!
안녕하세요? 코퀴틀람 서울치과 강주성 원장입니다. 지난 연재에서는 크라운의 수명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지난 내용은 벤쿠버 조선일보 홈페이지(www.vanchosun.com) 또는 코퀴틀람 서울치과 홈페이지(www.seoul-dental.ca/ko) 블로그 코너에서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충치 치료 시, 충치가 있는 부분을 제거 하고 그 부분을 때우는 치료(Filling)를 할 때 충치가 있는 부분을 갈아내는 것에 대해서는 환자들의 거부감이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충치가 크거나, 신경치료를 받았거나, 균열이 있어서 치아 전체를 씌워야 하는 경우에는 충치가 없는 부분까지 치아를 갈아내야 한다는 점에 대해 많은 분들이 거부감을 갖고 계십니다. 치과의사로서도 그 거부감을 충분히 이해하기 때문에 왜 치아 전체를 깎아서 씌워야 하는지 잘 설명 드리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간혹 십 수년 전에 크라운 치료를 받은 것에 대해 아직도 불만을 갖고 계신 환자분들을 만나게 됩니다. 예전에 치과의사가 멀쩡한 치아를 다 깎아서 조그맣게 만들어 벼렸다고 말씀하시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마 과거의 진료 환경상 환자와 충분한 대화를 하지 못하고 치료를 진행했던 것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일단 크라운이 필요한 이유를 잘 생각해 보면 이해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보통 크라운 치료는 부분적으로 때우는 치료(Filling)로는 커버하기 힘든 넓은 충치가 있는 경우, 씹는면에 심한 마모가 있어서 치아의 약한 내부(상아질층: Dentin층)가 노출된 경우, 또는 치아의 균열이 있어 추후 파절이 생길 수 있는 경우, 신경치료를 한 경우 등에 시행하게 됩니다.
앞서 나열한 경우들에는 공통점이 한가지 있습니다. 모두 치아의 가장 바깥층이면서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부분인 에나멜(법랑질:Enamel)층이 크게 손상된 경우라는 점입니다. 에나멜은 엄청나게 강한 인간의 씹는 힘을 수십년간 견뎌내면서 치아 내부의 약한 덴틴(상아질:Dentin)층과 그 내부의 신경조직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근데 이렇게 중요한 보호층이 크게 손상되었다면 일반적으로 때우는 재료로는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없답니다. 참고로 가장 흔한 때우는 재료는 레진(Resin)입니다. Resin은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강화 플라스틱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플라스틱이 강하다고 하더라도 뼈보다도 단단하고, 딱딱한 음식을 수십년간 씹더라도 그 힘을 견뎌낼 수 있는 에나멜을 충분히 대신할 수는 없다는 점을 이해 하실 것이라 믿습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면 은색의 충치 치료 재료인 아말감(Amalgam)을 말씀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단 아말감은 수은합금으로써 잠재적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그 사용을 금지해 나가고 있는 중입니다. 또한 재료가 단단하긴 하지만 잘 깨지는 단점도 갖고 있습니다. 한편 금으로 때울 수도 있지만 불행하게도 캐나다에서는 금으로 때우는 치료가 매우 고가 입니다. 사실 크라운 치료비용에 버금가기 때문에 크라운을 권해드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또한 금도 좋은 재료이는 하나 시간이 지날수록 변형이 되고 금 인레이의 경우 치아에 균열을 유발하는 성질, 그리고 치아와 화학적으로 접착이 되지 않는 성질 때문에 점점 다른 재료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오늘은 크라운 치료 시 치아 삭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보통 크라운 치료는 치아의 손상이 크거나 심해서 때우는 치료(filling)으로는 불 충분하거나 치아의 파절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 시행하게 됩니다. 크라운 치료 시 치아를 깎는 양은 치과의사가 마음대로 깎는 것이 아니라. 치의학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치의학은 의학이면서 과학이면서 예술적인 측면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치과의사의 손재주가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조각가에게 원석을 주면서 조각을 의뢰 할 때 그 결과물의 예술성이 중요한 것이지 돌을 너무 많이 깎아버렸다고 불평하는 의뢰인은 없을 것입니다. 다음 연재부터는 치아교정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